- 혈액학적 검사로 polycythemia vera로 진단이 내려진 경우에 해당하는 조직학적 진단코드는 무엇입니까?
- M9950/3(polycythemia vera)로 부여하시면 됩니다.
- Eosinophilia로 진단된 경우, 암등록 대상인가요?
- [질의내용]
Hypereosinophilic syndrome으로 face sheet에는 기재, 실제 pathology상에는 Hypereosinophilic syndrome로 진단내리는 경우가 거의 없고, Eosinophilia로 진단되었습니다.
이런 경우 암등록을 해야 하는지와 morphology는 어떻게 부여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답변]
C42.1(Bone marrow) M9964/3(Hypereosinophilic syndrome)으로 코드를 부여합니다.
[Abstracting and coding guide for the hematopoietic diseases(SEER)"" ] p.34에 의해 eosinophilia만 기술되어 있는 경우는 HES(Hyper eosinophilic syndrome인지를 추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단, 주치의 또는 병리 선생님에게 확인했을 때, HES가 아니라거나 모르는 경우, 혹은 더이상의 정보가 없는 상태의 eosinophilia라면 등록 대상이 아닙니다.
- Myelodysplastic Syndromes인 경우 SEERCODE가 궁금합니다.
- 혈액종양암의 대부분은 distant 나 disseminated로 병기가 주어집니다. 왜냐하면, 이 종양은 골수에서 발생하고 순환 혈액에서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SEER Summary Staging Manual 2000] 책자 p.280 참조.
예외적으로 Myeloma/solitary plasmacytoma, myeloid sarcoma의 경우는 악성 세포가 일부에 국한되어 축적되며, 축적된 부위로 코드를 부여합니다. 이 경우 병기는 병의 진행 정도에 따라 localized, distant 모두 코드를 부여 할 수 있습니다.
- Stomach cancer with liver mets의 SEERCODE가 궁금합니다.
- 대부분의 경우, 원발부위가 stomach이고 liver까지 침범이 되었을 때 SEERCODE를 2번(Regional)로 주는 것이 맞습니다. 그러나 liver에 multifocal 또는 seeding 된 경우는 7번(Distant meta)로 봅니다.
이 케이스도 원발부위(Stomach 의 세부부위)와 전이부위(Liver의 세부부위)가 해부학적인 위치상 인접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SEERCODE를 줄 때 고려해야합니다.
- Lung cancer 환자의 chest lung and mediastinum CT 결과에서 "chest wall invasion이 없음"의 경우 SEERCODE가 궁금합니다.
- CT결과상 근접조직이나 장기에 침범이 없으므로 SEERCODE “1” (Localized only) 로 부여합니다.
[SEER Summary Staging Manual 2000] 책자 p.151 참조.
- Lung cancer 환자의 CT 결과에서 Pleural effusion 이 있는 경우 SEERCODE 가 궁금합니다.
- 원발이 Lung일 경우, Pleural effusion(malignant or NOS) 언급이 있으면 SEER stage코드를 7번으로 주면 됩니다.
[SEER Summary Staging Manual 2000] 책자 p.151 참조.
- Non small cell lung cancer(Adenocarcinoma)에 해당하는 조직학적 진단코드는 무엇입니까?
- [질의내용]
Lung cancer 진단 받은 환자.
Bx: Non small cell lung cancer(Adenocarcinoma)
최종진단명: Lung cancer-Adenocarcinoma
ICD-O-3 코드 중에 M8046/3(Non-small cell carcinoma) 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MCODE를 어떻게 코딩해야하나요?
----------------------------------------------------------------------------------------
[답변]
임상학적으로 폐에서는 small cell과 non-small cell 타입 2가지로 나누어집니다.
Non-small cell에 속하는 세부유형이 많으므로 biopsy결과 세부유형에 대한 언급이 있다면 더 상세한 조직학적 소견을 주셔야 합니다.
이 경우는 M81403(Adenocarcinoma, NOS)으로 등록합니다.
- Breast cancer에서 치료방법 구분이 궁금합니다.(Herceptin, Tamoxifen 과 Femara, Nolvadex)
- 1) Herceptin: 화학치료(표적치료에 사용되는 항암제)
2) Tamoxifen 과 Femara: 호르몬치료
3) Nolvadex: 호르몬치료
- 병리보고서에서 lymphatic invasion :positive일 때, SEERCODE는 몇 번으로 주어야 하나요?
- [질의내용]
Breast, right, modified radical mastectomy:
Invasive ductal carcinoma, high grade
a> size: 1.8x1.2cm
b> site: right medial
c> lymphatic invasion: positive
d> vein invasion: positive
e> perineural invasion: negative
f> lymphnode metastasis: negative(0/12)
g> skin invasion: negative
h> reaction margin involvement (upper, lower, medial, lateral, deep): negative
- lymphatic invasion :positive
- lymph node metastasis :negative (0/12)
라고 되어있습니다.
invasion이라는 것은 주변조직에 침윤되는것, metastasis는 원발부의에서 먼 부위나 조직으로 옮겨가는 것이라고 알고 있는데. 그렇다면 이 환자의 경우는 주변 림프에 침윤이 있고, Distant Lymph node로는 전이가 되지 않았다는 의미로 보는 것인가요?
SEERCODE 를 몇번으로 부여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답변]
먼저 lymphatic은 lymphatic vessle과 같은 의미로 lymph node와는 다른 의미입니다.
병리보고서상 Lymph node meta로 개수가 언급되어 있다면 주치의에게 regional 또는 distant lymph node인지 확인하여 SEERCODE를 코딩하면되나, 대개의 경우 Regional lymph node로 간주됩니다.
위의 경우는 SEERCODE '1번'으로 코딩합니다.
- Breast, Ductal carcinoma, in situ, with focal papillary carcinoma에 해당하는 조직학적 진단코드는 무엇입니까?
- [질의내용]
암종의 소견이 아래와 같습니다. 조직학적 진단코드는 몇 번으로 부여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DIAGNOSIS:
Breast, right, excision:
Ductal carcinoma, in situ, with focal papillary carcinoma
----------------------------------------------------------------------------------------
[답변]
Focal은 종양의 대부분을 지칭하지 않는 용어이므로 cell type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하지만 위의 경우와 같이 행태코드가 다른 경우, 즉 상피내암과 악성이 있는 경우에는 반영되지 않는 기준이므로 M8503/3 (Infiltrating papillary adenocarcinoma)로 코딩합니다.